Polife


경찰관 건강 관리 플랫폼
‹폴라이프(Polife)› 플랫폼은 경찰관들이 스스로의 건강 정보를 입력하고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폴라이프›는 직군별 발생 가능한 건강 위험의 분류, 위험 요인 관리, 개인 맞춤형 건강 정보 분석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한다. ‹폴라이프›는 JEM (직업 건강 위험 노출 매트릭스) 분류를 통해 직무와 관련된 건강 위험을 예측한다.
본 연구 프로젝트에서 OND는 UX 설계를 전담하며, 서비스 및 경험 요소 정의, 앱, 웹 인터페이스 설계, 데이터 시각화, 건강 설문 설계, 피드백 시스템 설계, 사용성 추적 및 모니터링 등을 포함한 UX 및 서비스 디자인 전반을 담당하였다.
본 프로젝트는 경찰청의 주도로 시작되었기 때문에, 경찰관들은 서비스를 직무의 확장이나 상명하달식(top-down) 프로젝트로 인식할 가능성이 있었다. 따라서 OND의 UX 설계에서 핵심 초점은 연구 프로젝트를 실질적인 사용자 가치가 있는 서비스로 변화시키는 데 있었다.
심도 있는 고민 끝에 OND는 핵심 사용자 가치로 ‘상해 청구’를 도출하였다. 경찰 업무는 건강 관리 측면에서 도전적인 직업으로, 순환 보직에 따른 다양한 역할들은 경찰관을 여러 위험에 노출시킨다. 예를 들어, 교통 경찰은 미세먼지에 많이 노출되며, 범죄 수사관은 종종 트라우마에 노출된다. ‹폴라이프›를 사용하면 직무 변화에 따른 건강 이력을 효율적으로 추적하고 기록할 수 있다.
시간이 지나며 직무가 변경되더라도 각 역할과 관련된 건강 기록은 플랫폼에 그대로 유지된다. 이는 퇴직 후에도 문제가 발생할 경우, 플랫폼에 기록된 데이터를 통해 상해 청구가 가능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사용자 가치 도출은 2,000명의 경찰관을 대상으로 한 파일럿 프로그램에서 도출된 설문 및 인터뷰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가능했다.
‹폴라이프›는 성공적으로 출시되어, 월간 활성 사용자(MAU) 1만 명을 달성하였으며, 1만 명 이상의 경찰관 건강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현재 OND는 ‹폴라이프› 버전 2.0 출시를 위한 전략을 개발 중이다.
본 연구 프로젝트에서 OND는 UX 설계를 전담하며, 서비스 및 경험 요소 정의, 앱, 웹 인터페이스 설계, 데이터 시각화, 건강 설문 설계, 피드백 시스템 설계, 사용성 추적 및 모니터링 등을 포함한 UX 및 서비스 디자인 전반을 담당하였다.
본 프로젝트는 경찰청의 주도로 시작되었기 때문에, 경찰관들은 서비스를 직무의 확장이나 상명하달식(top-down) 프로젝트로 인식할 가능성이 있었다. 따라서 OND의 UX 설계에서 핵심 초점은 연구 프로젝트를 실질적인 사용자 가치가 있는 서비스로 변화시키는 데 있었다.
- 어떻게 하면 경찰관들이 ‘자발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유도할 수 있을까?
- 서비스가 의무적일 경우, 의무적 성격에 대한 저항을 어떻게 최소화할 수 있을까?
심도 있는 고민 끝에 OND는 핵심 사용자 가치로 ‘상해 청구’를 도출하였다. 경찰 업무는 건강 관리 측면에서 도전적인 직업으로, 순환 보직에 따른 다양한 역할들은 경찰관을 여러 위험에 노출시킨다. 예를 들어, 교통 경찰은 미세먼지에 많이 노출되며, 범죄 수사관은 종종 트라우마에 노출된다. ‹폴라이프›를 사용하면 직무 변화에 따른 건강 이력을 효율적으로 추적하고 기록할 수 있다.
시간이 지나며 직무가 변경되더라도 각 역할과 관련된 건강 기록은 플랫폼에 그대로 유지된다. 이는 퇴직 후에도 문제가 발생할 경우, 플랫폼에 기록된 데이터를 통해 상해 청구가 가능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사용자 가치 도출은 2,000명의 경찰관을 대상으로 한 파일럿 프로그램에서 도출된 설문 및 인터뷰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가능했다.
‹폴라이프›는 성공적으로 출시되어, 월간 활성 사용자(MAU) 1만 명을 달성하였으며, 1만 명 이상의 경찰관 건강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현재 OND는 ‹폴라이프› 버전 2.0 출시를 위한 전략을 개발 중이다.





Credit
Client
Research Consortium
Entire product design process - User research, UX/UI design, Service design, Usability engineering, QA, and others
Client
- National Police Agency, South Korea 대한민국 경찰청
Research Consortium
- Yonsei University Severance Hospital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병원, Hanyang University 한양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서울대학교 병원, DG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 Postech 포항공과대학교 & SMD
Entire product design process - User research, UX/UI design, Service design, Usability engineering, QA, and others
-
OND Lab - UNIST
- HAI Lab - UNIST
PROJECTS - Sel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