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le
Population Health Management Platform
Usability test session with medical professionals, Wonju, South Korea, Feb 2022
Observation and task analysis with medical professionals, Wonju, South Korea, Oct 2020
Idea
Medical staff can monitor the health information of a group of workers at a glance, identifying those who are at risk or showing signs of potential health issues. This allows for timely interventions and support.Function
Workers can use ‹Myle› to better manage their lifestyles by entering health data into the app. The platform’s algorithm uses this data to offer tailored health education programs focused on lifestyle management, workplace safety, and mental health, empowering users to take control of their own healthcare.Form
The app’s design emphasizes accessibility and usability. Its typeface, layout, and colors are optimized to support systematic healthcare. The color scheme is designed to clearly indicate different levels of health risks, while the layout is intuitive and considerate of elderly users.Differentiation
Unlike the existing healthcare systems that are often cumbersome due to government regulations, ‹Myle› offers a user-friendly experience with engaging features. It simplifies access to employer-provided healthcare services, making them easier for workers to understand and utilize.Impact
‹Myle› has the potential to reduce workplace accidents by enabling efficient health management. With proven success, the platform could be expanded to other workplaces and regions, contributing to improvements in national health management.대중 건강 관리 시스템(PHMS)
‹몸튼맘튼(Myle의 한글명)›은 근로자, 고용주, 의료진이 함께 협업할 수 있는 대중 건강 관리 시스템(PHMS)으로 산업 근로자의 건강을 지키고, 향상시킬 수 있는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플랫폼이다. ‹몸튼맘튼›은 어려운 근무 환경에 처한 근로자의 건강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자 하는 의료진을 돕는다.
산업 근로자는 ‹몸튼맘튼› 앱을 통해 ‘정기 건강 검진 기록’을 비롯한 스스로의 의료 데이터, 정신 건강 및 라이프 스타일 데이터를 입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몸튼맘튼› 웹은 근로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를 의료진과 공유하여 상세하고 효과적인 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산업 근로자는 ‹몸튼맘튼› 앱을 통해 ‘정기 건강 검진 기록’을 비롯한 스스로의 의료 데이터, 정신 건강 및 라이프 스타일 데이터를 입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몸튼맘튼› 웹은 근로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를 의료진과 공유하여 상세하고 효과적인 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아이디어
‹몸튼맘튼› 보건관리 시스템은 일상에서 근로자들이 스스로 건강관리를 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하고, 건강관리자의 업무부담을 경감하는 데에 주요 목표를 둔다. ‹몸튼맘튼› 플랫폼을 사용하면 의료진이 다수의 근로자에 대한 건강 정보를 한눈에 모니터링할 수 있어, 건강에 문제가 있거나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근로자를 쉽게 식별하고 적절한 조치가 가능하다.기능
‹몸튼맘튼›은 근로자와 보건관리자들에게 만성질환, 근골격계질환 및 정신건강 위험도를 4단계 신호등 체계로 분류하여, 근로자들의 건강문제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구축한 시스템이다. 더 나아가 필요에 따라 웨어러블 기기 기반 심박수, 혈압, 혈당, 신체활동 등을 일상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다.영향
‹몸튼맘튼›을 통해 근로자들은 일상에서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고, 나아가 직무 관련 건강 위험을 조기 발견하며, 건강한 직장문화를 만드는데 이바지 할 것으로 기대한다.
형태
‹몸튼맘튼›의 서체, 레이아웃 및 색상은 체계적인 건강 관리의 촉진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색상은 건강 위험의 여러 단계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세심하게 구성했으며, 사용자 경험 디자인은 디지털 약자들의 접근성을 고려하여 설계되었다.차별점
‹몸튼맘튼›은 그 동안 지적되어 온 우리나라 산업보건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고 ICT 기술을 기반으로 사업장과 지역사회를 연계하는 효율적인 건강관리방법을 제시한다.기존 한국의 산업보건은 사업주 중심의 제도로 인하여 소규모 사업장의 근로자 건강관리의 한계가 뚜렷하고, 유해요인 중심의 제한적인 근로자 건강 관리, 원인주의적 접근을 통해 산업재해와 직업병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산업보건관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디지털 헬스케어를 이용하여 지역사회 자원을 연계한 스마트 건강관리의 해법을 제시하였다.
Credit
Client
Research Consortium
OND Lab - UNIST
Hyojeong Jin 진효정, Hyejin Oh 오혜진, Jiyoung Lee 이지영, Jinback Lee 이진백, Yungu Kang 강윤구, Sanghee Park 박상희, Kyuwon Cho 조규원, Seonkyu Lee 이선규, Jieun Lee 이지은, Yeongjun Park 박영준 & Hwang Kim 김황
HAI Lab - UNIST
Client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outh Korea 보건복지부
Research Consortium
- Yonsei University Severance Hospital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병원,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서울대학교 병원, SMD
OND Lab - UNIST
Hyojeong Jin 진효정, Hyejin Oh 오혜진, Jiyoung Lee 이지영, Jinback Lee 이진백, Yungu Kang 강윤구, Sanghee Park 박상희, Kyuwon Cho 조규원, Seonkyu Lee 이선규, Jieun Lee 이지은, Yeongjun Park 박영준 & Hwang Kim 김황
HAI Lab - UNIST
- Dokyung Kim 김도경, Jejun Park 박제준 & Dooyoung Jung MD PhD 정두영
PROJECTS - Selected